보도자료

보도자료 - Press Release
날짜
2025년 5월 22일
분량
총 1장
담당
홍보실
전화
02-3701-7338
E-mail
communications@asaninst.org

* 배포 후 바로 보도 가능합니다.

아산정책硏, ‘미국인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 대한 인식 변화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응 전망’ 아산리포트 발표

 
아산정책연구원은 5월 22일 장지향 수석연구위원, 강충구 책임연구원의 아산리포트 ‘미국인의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에 대한 인식 변화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응 전망’을 발표했다. 역사적으로 미국인은 이스라엘에 우호적 태도를 보여왔다. 그러나 2023년 10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후 미국 내 팔레스타인 동정론은 이례적으로 확산했다. 이는 전쟁이 장기화하며, 이스라엘의 지나친 군사 작전이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 위기를 심화해서다. 전쟁 발발 후 미국 여론의 단기 변화폭이 컸고, 바이든 행정부가 이를 고려해 정책을 조정했다는 점에서 여론이 트럼프 2기 중동 정책에 주는 함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산리포트는 이러한 미국 내 여론 변화 속에 출범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초기 중동 정책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발발 후 나타난 미국 내 여론 변화는 크게 둘로 나뉜다. 첫째,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자국 안보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보는 미국인 비율이 2022년 35%에서 2024년 52%로 크게 증가했다. 이는 전쟁이 이스라엘-이란 간 전면전으로 비화할 가능성을 높이며, 중동 내 불안정성과 불확실성을 증대시킨 데 따른 반응이다. 둘째, 짧은 기간 팔레스타인 동정론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전쟁이 장기화하고, 이스라엘의 강경 대응으로 가자지구 내 인도주의 참사가 발생하며, 팔레스타인인에 대한 동정 인식은 25% 안팎에서 2025년 3월 33%까지 상승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갈등을 미국 안보와 직결된 사안으로 본 미국인의 급증은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중동 정책의 안보 중심적 접근을 정당화하는 논거로 활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하마스를 겨냥한 이스라엘의 강경 군사작전을 단순한 외교 현안이 아닌, 중동 지역의 안정과 미국의 국가 안보를 위한 조치로 간주하며, 친이스라엘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반전 여론 확산이 2024년 대선 결과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 기반인 공화당 유권자층의 변화가 제한적이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 공화당 지지층 내 이스라엘에 대한 동정 인식은 2023년 10월 64%에서 2025년 58%로 소폭 하락했다. 현재로선 트럼프 행정부가 대중동 정책을 조정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오히려 핵심 지지층의 기대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향후 친이스라엘 노선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아산리포트 관련 문의:
장지향 수석연구위원  02)3701-7313, jhjang@asaninst.org
강충구 책임연구원 02)3701-7343, ckkang@asaninst.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