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500 views

요약

 
본 연구 보고서는 육군본부와 아산정책연구원이 전통적 안보위협과 비전통 안보위협이 증가하는 미래 한반도 안보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육군의 부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 군은 「국방혁신 4.0」과 『육군비전 2050 수정1호』에서 육군의 모습을 제시하여 미래 안보위협에 대응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준비를 하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로 먼저,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으로 만들어진 첨단과학기술을 기반으로 미래 전쟁이 어떤 양상으로 수행될 것인가를 예측해 보았다. 그리고 미국과 중국 등 군사 강국은 미래 전쟁을 수행할 수 있는 자국의 육군을 어떠한 모습으로 만들고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적 안보위협과 비전통 안보위협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미래에 대응할 수 있는 육군의 부대구조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제언하였다.

첫째, 사이버·우주·전자전 영역을 포함한 북한 등 주변국의 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응하고,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아미타이거(Army Tiger) 여단에 사이버·우주·전자전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를 편성(또는 임무 부여)하는 것이다.

둘째, 자연재해·감염병·테러 등 증가하는 비전통 안보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권역별 전담 아미타이거 여단을 지정하고, 상황에 따라 국군병원, 공병·화생방부대를 편조(또는 Task Force)하여 대응하는 것이다.

셋째, 평시뿐만 아니라 전시, 대규모 자연재해 시에도 임무수행이 가능토록 다수의 유·무인 전투 개체를 연결하는 지휘통신 체계(저궤도 전술 군집위성)를 구축하는 것이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미래 전쟁 수행 개념

III. 주변국 육군의 발전 방향
   1. 미국
   2. 중국

IV. 『육군비전 2050』에 나타난 육군의 부대 구조
   1. 2050년에 요구되는 육군의 역할
   2. 육군의 부대 구조

V. 전통적 위협과 비전통 위협에 대비한 육군의 부대 구조
   1. 미래 안보환경 변화
   2. 전통적 위협에 대비한 미래 육군의 부대 구조
   3. 비전통 위협에 대비한 미래 육군의 부대 구조

VI. 결론

참고문헌

육군-아산 정책 연구 시리즈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원이나 육군본부의 공식 입장이 아닌 저자들의 견해입니다.

 

About Experts

임근영
임근영

임근영 대령은 아산정책연구원의 객원연구위원으로 근무하였다(2022년 12월∼2023년 6월). 육군사관학교에서 국제관계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방대학교 안전보장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작전, 정책분야에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였고, 현재 동북아 안보정세와 국방 안보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

차두현
차두현

외교안보센터

차두현 박사는 북한 문제 전문가로서 지난 20여 년 동안 북한 정치·군사, 한·미 동맹관계, 국가위기관리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실적을 쌓아왔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국방연구원 국방현안팀장(2005~2006), 대통령실 위기정보상황팀장(2008), 한국국방연구원 북한연구실장(2009) 등을 역임한 바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의 교류·협력 이사를 지냈으며(2011~2014) 경기도 외교정책자문관(2015~2018), 통일연구원 객원연구위원(2015~2017), 북한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2017~2019)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현재는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겸 수석연구위원으로 있으면서, 경희대 평화복지대학원 객원교수직을 겸하고 있다. 국제관계분야의 다양한 부문에 대한 연구보고서 및 저서 100여건이 있으며, 정부 여러 부처에 자문을 제공해왔다.

이신형
이신형

연구부문

이신형은 아산정책연구원 외교안보센터 연구원이다. 연세대학교 국제학부에서 정치외교학 학사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법학(국제법)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연구 관심분야는 국제공법, 기후변화, 국제기구, 외교정책 및 국제관계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