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은 “한미관계의 현황과 과제(Managing ROK-US Relations)”라는 주제로 미국 뉴욕과 워싱턴 D.C.에서 아산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 2013년 10월 23일(수) 미국 뉴욕 코리아 소사이어티(공동 주최)
마크 민튼 코리아 소사이어티 회장의 환영사로 시작된 23일 세미나의 첫 번째 세션에서는 우정엽 연구위원의 “한미동맹에 대한 여론”에 대한 발표와 최강 부원장의 한미동맹에 현안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한미관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졌습니다. 이어진 세션에서는 김지윤 연구위원이 국내정치 변동과 한국인의 통일 안보이슈 인식에 대해 발표를 했고, 급변하는 국제질서 하에서의 한국의 역할에 대한 모종린 선임연구위원의 발표가 이어졌습니다.
- 2013년 10월 25일(금), 미국 워싱턴 D.C. 스팀슨센터
25일 워싱턴 DC 스팀슨센터로 자리를 옮겨 개최된 세미나는 최강 부원장의 환영사로 시작되었고, 커트 캠벨 전 미 국무부 아시아태평양 차관보의 기조연설이 이어졌습니다. 이후에는 최강 부원장의 사회로 한미동맹의 현안과 과제에 대한 “커트 캠벨과의 대담”이 진행되었습니다. 오후 세션에서는 모종린 선임연구위원의 “한국과 국제자유주의 질서의 미래”에 대한 발표, 김지윤 우정엽 연구위원의 “한미동맹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대한 발표가 이루어졌습니다.
뉴욕
워싱턴 DC
원장
최강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 원장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외교원에서 기획부장과 외교안보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동 연구원에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교수로 재직하며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미주연구부장을 지냈다. 또한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아태안보협력이사회 한국위원회 회장으로서 직무를 수행했다. 한국국방연구원에서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국제군축연구실장,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국방현안팀장 및 한국국방연구 저널 편집장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기획부 부장으로서 국가 안보정책 실무를 다루었으며, 4자회담 당시 한국 대표 사절단으로도 참여한 바 있다. 1959년생으로 경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고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구분야는 군비통제, 위기관리, 북한군사, 다자안보협력, 핵확산방지, 한미동맹 그리고 남북관계 등이다.
view moreResearch Fellow
우정엽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안보정책프로그램 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 학사,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Georgetown University) 에서 정책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학교-밀워키 (University of Wisconsin at Milwaukee) 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의 한국학연구소 (Korean Studies Institute)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주요 연구분야는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여론문제, 제3국의 내전 무력개입에 관한 국제분쟁 등이다.
객원연구위원
모종린 교수는 아산정책연구원의 객원연구위원이다. 미국 코넬대학 (Cornell University)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석사학위, 스탠퍼드대학 (Stanford University)에서 정치경제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오스틴 대학 조교수를 역임하고 현재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와 미국 스탠퍼드대학 후버연구소 (Hoover Institution) 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모종린 교수의 연구분야는 협상이론, 한국발전의 정치경제학, 동아시아 국제관계, 글로벌 거버넌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