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한국이 미국에 중요한 이유/미국이 한국에 중요한 이유』 출판 기념행사

작성자
천영우
조회
941
작성일
14-03-19 16:35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아산정책연구원은 East-West Center는 2014년 3월 19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한국이 미국에 중요한 이유/미국이 한국에 중요한 이유』 (Korea Matters for America/America Matters for Korea)” 출판 기념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아산정책연구원과 미국 워싱턴 DC의 East-West Center가 공동으로 저술한 『한국이 미국에 중요한 이유/미국이 한국에 중요한 이유』는 한국과 미국의 관계를 재조명하고 기념하는 출판물입니다. 이 출판물은 한미 동맹, 한미 경제관계, 한미 인적 교류를 포함한 한미관계의 주요 부분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검증된 정보와 통계수치를 통해 한미내의 여러 지역과 도시간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한미 동맹 60주년 이후의 미래” 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행사에는 성김 주한미국대사, 에이미 잭슨 주한미국상공회의소 대표, 김재창 한미안보연구회 회장, 황진하 국회의원, 김종훈 국회의원, 천영우 아산정책연구원 고문, 사투 리마예 美 East-West 센터 DC 오피스 소장 등 한미관계 전문가 분들이 참여였으며,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한 이들의 분석과 전망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일시: 2014년 3월 19일 수요일 오전 10시 30분
장소: 아산정책연구원 1층 강당
 

Korea Matters for AmericaAmerica Matters for Korea
천영우

천영우 전(前)청와대외교안보수석은 2014년 1월부터 아산정책연구원 고문으로 있으며, 2013년 6월 사단법인 한반도미래포럼을 설립하여 이사장 직을 맡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 임기 후반 2년 반 동안 청와대외교안보수석을 역임하였으며(2010.10-2013.2) 그 이전 약33년간 직업외교관으로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다. 외교부 본부에서는 제2차관(2009-2010),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6자회담 수석대표(2006-2008), 외교정책실장(2005-2006)등 요직을 두루 거쳤으며, 재외공관 보직으로는 주(駐)영국 대사(2008-2009), 주(駐)유엔한국대표부 대사(차석)(2003-2005) 등을 역임하였다. 부산대학교에서 불어를 전공하고(1977), 미국 Columbia University에서 국제학 석사(MIA)를 취득하였다(1994).

최강

원장

최강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 원장이다. 2012년부터 2013년까지 국립외교원에서 기획부장과 외교안보연구소장을 역임했으며, 동 연구원에서 2005년부터 2012년까지 교수로 재직하며 2008년부터 2012년까지는 미주연구부장을 지냈다. 또한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아태안보협력이사회 한국위원회 회장으로서 직무를 수행했다. 한국국방연구원에서는 1992년부터 1998년까지 국제군축연구실장, 2002년부터 2005년까지는 국방현안팀장 및 한국국방연구 저널 편집장 등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는 국가안전보장회의 정책기획부 부장으로서 국가 안보정책 실무를 다루었으며, 4자회담 당시 한국 대표 사절단으로도 참여한 바 있다. 1959년생으로 경희대 영어영문학과 졸업 후 미국 위스콘신 주립대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고 오하이오 주립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연구분야는 군비통제, 위기관리, 북한군사, 다자안보협력, 핵확산방지, 한미동맹 그리고 남북관계 등이다.

view more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