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일본의 외교안보전략과 한반도 정책’

작성자
조회
780
작성일
15-09-15 15:18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 한국학센터는 2015년 9월 15일(화) 이종원 와세다대학 교수(대학원 아시아태평양 연구과)를 초청해 ‘일본의 외교안보전략과 한반도 정책’을 주제로 라운드테이블을 열었다. 이 교수는 릿쿄대학 법학부 교수 및 부총장, 한국 대통령자문정책 기획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이번 라운드테이블에서는 한일관계 및 일본의 집단적자위권 행사 범위에 관한 안보법안 처리 문제에 대해 집중 논의했다.



먼저 이종원 교수는 아베 정권이 일본 국민들의 거센 반대 여론을 무시한 채 안보법안을 밀어 붙이고 있는 상황에 대해 “연립여당(자민∙공명)이 참의원 의석 수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돌발 변수가 없는 한 이번 금요일(9/18)까지 안보법안 표결이 강행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며 “아베 정권이 늦어도 18일에는 안보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 표결을 밀어 붙이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수적으로 열세인 야당이 기대할 수 있는 것은 18일 이전 법안 통과를 막고 시간을 끌어 이번 국회 회기(9월 27일) 안에 법안 표결에 돌입할 수 없도록 하는 것뿐이다”라고 덧붙였다.



한국의 대일외교와 관련해서는 “한국은 이제부터라도 구체적인 대일외교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한국이 일본에 내놓을 수 있는 카드가 ‘역사’밖에 없는 것은 아닐 텐데, 한국은 대일외교에 있어 늘 역사 문제를 먼저 꺼내고 감정적∙도덕적 측면에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부 입장에서 “한국이 역사 문제를 꺼내는 것은 전후 일본이 새롭게 구축하고자 한 국가 아이덴티티의 근본을 건드리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역사 문제를 넘어 보다 폭넓은 관점을 가지고 한국의 안보와 통일 문제에 있어 일본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그는 “최근 일본이 중국의 부상에 대한 대비체제로써 ‘미-일-호주-인도’를 아시아태평양의 G4로 칭하며 협력 체제를 강화해 나가는 것처럼, 한국 정부도 미-일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되, 중국, 러시아와의 공조를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시: 2015년 9월 15일(화), 오후 3시~5시
장소: 아산정책연구원 2층 회의실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