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물

아산리포트

검색창 닫기 버튼

출간물 | 아산리포트

결심체계를 뒤흔드는 인지전:
우리는 준비되어 있는가?

양욱

3952025.09.17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요약


본 연구 보고서는 최근 전쟁에서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인지전을 이해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인지전은 언론과 대중에게는 생소하지만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 중국의 지속적인 회색분쟁 등과 맞물려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는 권위주의 국가들의 부당한 여론 및 인지조작에 대응하고, 자유민주주의 국가들의 가치와 체제를 보호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급부상하였다.

현대의 분쟁은 반드시 무력충돌에 이르지 않고서도 의도한 결과를 얻는 방법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있다. 무기체계의 위력과 정밀도가 향상되는 만큼 전쟁의 결과는 그만큼 더 참혹해지기 때문이다. 싸우지 않고 이기는 것이 최선이라는 부전승(不戰勝) 사상은 시대와 장소를 막론하고 최고의 전략이다. 인지전은 바로 그러한 부전승을 이루는 한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급격한 정보화혁명으로 전 세계가 하나로 이어진 오늘날, 뉴스 방송이나 신문보다 SNS 대화방이나 소셜미디어 포스팅이 갖는 위력은 엄청나다. 사회의 모든 현상에 관한 인지가 기존과는 다른 완전히 새로운 수단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지를 조작할 수 있다면, 상대방의 판단과 의지까지도 조작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지점이 인지전의 시작이다.

비록 전쟁을 막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적에게 혼란을 가져다주고 기선을 제압하는 데 있어 인지전의 역할은 막대하다. 선승이후구전(先勝而後求戰), 즉 먼저 이긴 후 싸울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최소한의 희생으로 빠른 승리를 쟁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인지전은 평시부터 수행하여 전쟁을 억제하고, 전시에는 그 효과로 승리를 보장하는 중요한 국방의 요소가 된다. 21세기에도 북한과 대치 중인 우리는 끊임없이 인지전을 펼쳐오고 있다. 냉전 시절의 체제 대결도 인지전의 일환이었고, 소련 및 동구권 공산독재의 붕괴와 함께 우리는 승리를 자축했었다. 그러나 권위주의 국가들이 민주주의의 약점을 활용하여 새로운 인지전을 펼치고 있는 지금, 우리는 북한과 친북 권위주의 국가들에 위협을 받고 있다. 어느 때보다도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목차


요약

I. 인지와 전쟁의 관계성

1. 인지의 이해

2. 인지전와 전쟁의 관계

II. 인지전이란 무엇인가?

1. 인지전의 정의

2. 인지전의 특징

3. 인지전의 다양한 스펙트럼

III. 현대전의 인지전

1. 미국의 인지전

2. 러시아의 인지전

3. 중국의 인지전

4. 이스라엘의 인지전

IV. 인지전 수행 방안

1. 인지전의 목적과 대상

2. 인지전의 수단

3. 인지전의 수행 방법

V. 미래 국방전략 발전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본 보고서의 내용은 필자의 견해로 아산정책연구원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양욱

연구위원, 실장

양욱 박사는 군사전략과 무기체계 전문가로서 20여년간 방산업계와 민간군사기업 등에서 활동해왔으며, 대한민국 최초의 민간군사기업 중 하나였던 인텔엣지주식회사를 창립하여 운용했다. 회사를 떠난 이후에는 TV와 뉴스매체를 통해 다양한 군사이슈와 국제분쟁 등을 해설해왔으며, 무기체계와 군사사에 관한 다양한 저술활동을 해왔다. 국방대학교에서 군사전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국방안보포럼의 연구위원이자 WMD 센터장으로 북한의 군사전략과 WMD 무기체계를 분석해왔고, 이러한 활동을 바탕으로 국가안보실, 국방부, 합참, 방사청, 육/해/공군 등의 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해왔다. 현재는 북한의 군사동향과 현대전쟁에 관한 연구를 계속 중으로, 한남대학교 국방전략대학원, 육군사관학교 등에서 군사혁신론과 현대전쟁연구 등을 강의하며 각 군과 정부에 자문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view more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