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보도자료 - Press Release
날짜
2025년 4월 1일
분량
총 1장
담당
홍보실
전화
02-3701-7338
E-mail
communications@asaninst.org

* 배포 후 바로 보도 가능합니다.

아산정책硏, ‘2025년 한국의 대(對)중동정책 제언:
방산·원전 협력과 전후 재건 기여’ 이슈브리프 1일 발표

 
아산정책연구원은 4월 1일 장지향 수석연구위원의 이슈브리프 ‘2025년 한국의 대(對)중동정책 제언: 방산·원전 협력과 전후 재건 기여’을 발표했다. 장 수석연구위원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중동 정세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는 2025년 우리의 대(對)중동 정책에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한 중동 정책의 핵심은 국가별로 차별화된 접근을 전제로 하되, 전체적으로는 방산 및 원전 분야의 협력 강화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의 전후 재건 참여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요약될 수 있다. 한국은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걸프 산유국과는 방위산업과 원자력 발전소 개발 협력에 집중하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대한 인도주의 지원을 늘려야 한다.

장 수석연구위원은 이어, 방산과 원전은 한국이 전략적 중대 과제로 키운 덕분에 국제적으로 높은 경쟁력을 갖춘 분야이며, 동시에 걸프 산유국이 미국의 탈중동 정책과 이란의 군사적 팽창에 대응하기 위해 자립화와 기술 습득을 적극 추진하는 핵심 산업이기도 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은 양측의 이해가 맞물리는 접점을 활용해 실질적인 협력을 추진할 유리한 위치에 있다. 또한 가자지구의 전후 재건 기여는 한국과 중동 국가 모두가 각자의 국가 위상에 걸맞은 책임을 수행하고 국제적 리더십을 공유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무엇보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이후 역내 질서는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 이스라엘의 대대적인 군사작전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등장으로 이란과 시아파 진영은 잠시 위축되는 한편 걸프 산유국을 중심으로 한 아랍 수니파 세력과 이스라엘의 역할이 부각되면서 한국은 전략적 기회와 외교적 존재감을 선점할 수 있는 중요한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이슈브리프 관련 문의:
장지향 수석연구위원 02)3701-7313, jhjang@asaninst.org